1️⃣ 서론
이 문제는 백준 2146 다리만들기 문제에 대한 풀이이며 파이썬(Python)
으로 해결하였다.
2️⃣ 문제 설명
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다. 이 나라는 N x N 크기의 이차원 평면상에 존재하고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동서남북으로 육지가 붙어있는 덩어리를 말한다. 0은 바다, 1은 육지를 나타내며, 지도가 주어질 때, 가장 짧은 다리 하나를 놓아 두 대륙을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 문제이다. 즉, 연결할 수 있는 가장 짧은 다리의 길이를 구하면 된다.
3️⃣ 풀이
일단 작업을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.
- 섬을 각각 어떻게 구분해 줄 것인지
- 섬과 섬의 최단 다리를 어떻게 찾을 것인지
1번은 각각의 섬의 숫자를 다르게 나타내기로 했다. 이 때 방법은 bfs
를 사용하여 섬을 구분하기로 했다.
2번이 좀 고민이 많이 됬는데 섬을 각각 돌면서 다른 섬을 만날 때 까지 바다를 건너며 가장 짧은 길이를 찾기로 하였다. 그럼 그 가장 짧은 길이가 가장 짧은 다리의 길이가 될 것이다. 이 방법 또한 bfs
를 사용하여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었다.
코드는 다음과 같다.
4️⃣ 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input = sys.stdin.readline
dx = [-1, 1, 0, 0]
dy = [0, 0, -1, 1]
# 섬을 구분해주는 bfs
def bfs1(i, j):
global count
q = deque()
q.append([i, j])
vis[i][j] = True
arr[i][j] = count
while q:
x, y = q.popleft()
for k in range(4):
nx = x + dx[k]
ny = y + dy[k]
if 0 <= nx < n and 0 <= ny < n and arr[nx][ny] == 1 and not vis[nx][ny]:
vis[nx][ny] = True
arr[nx][ny] = count
q.append([nx, ny])
# 바다를 건너며 가장 짧은 거리를 구한다.
def bfs2(z):
global answer
dist = [[-1] * n for _ in range(n)] # 거리가 저장될 배열
q = deque()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n):
if arr[i][j] == z:
q.append([i, j])
dist[i][j] = 0
while q:
x, y = q.popleft()
for i in range(4):
nx = x + dx[i]
ny = y + dy[i]
# 갈 수 없는 곳이면 continue
if nx < 0 or nx >= n or ny < 0 or ny >= n:
continue
# 다른 땅을 만나면 기존 답과 비교하여 짧은 거리 선택
if arr[nx][ny] > 0 and arr[nx][ny] != z:
answer = min(answer, dist[x][y])
return
# 바다를 만나면 dist를 1씩 늘린다.
if arr[nx][ny] == 0 and dist[nx][ny] == -1:
dist[nx][ny] = dist[x][y] + 1
q.append([nx, ny])
n = int(input())
arr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
vis = [[False] * n for _ in range(n)]
count = 1
answer = sys.maxsize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n):
if not vis[i][j] and arr[i][j] == 1:
bfs1(i, j)
count += 1
# print(arr)
for i in range(1, count):
bfs2(i)
print(answer)
5️⃣ 마치며
bfs를 연달아 두개 쓰는 방법이었는데 처음 보는 유형이어서 아이디어에 대한 생각이 많이 걸렸다. 이럴 때마다 알고리즘은 많이 푸는게 답이다 라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.